이각종 하모니카

마이크종류 본문

연주용 장비/음향상식

마이크종류

이비(eb) 2018. 6. 27. 16:22


            

- 마이크(Microphone) -

 

카본,크리스탈,마그네틱 마이크

카본 마이크 (Carbon Microphone)

벨이 전화기를 발명해 그 송수화기를 만든게 사실상 최초의 마이크인데, 그 이후 이 송수화기를 위해 만들어진 넘이 바로 카본 마이크다. 옆 그림에서 보이는 오래된 전화기에도 카본 마이크가 쓰였는데, 저 그림의 전화기를 만든 회사인 Western Electric 1920년대에 라디오 연설등에 쓰이던 카본 마이크도 생산했었다. 카본 마이크는 탄소(카본Carbon)의 성질을 이용한 간단한 구조 로 만들어 지는데, 자체만으로도 충분한 출력을 얻을수 있기땜에 예전엔 연설용 마이크로도 쓰이고, 기계식 '따르릉' 전화기 등에도 쓰였었지만, 음질도 나쁘고, 소리도 잘 찌그러지고 (Distortion), 다이나믹레인지도 좁아서 요즘은 박물관 전시품 신세가 된넘이다.


리스탈 마이크 (Crystal Microphone)

'동감' 에서 볼수 있었던 무선통신기 등에 쓰이거나, 추억의 외화 '기동순찰대' 에서 볼수 있었던 경찰 오토바이, 경찰차에 달린 무전기 등에 쓰이던게 크리스탈 마이크다. 통신병의 군용 무전기에도 이 크리스탈 미이크가 쓰였었다. 물론 예전엔 연설등을 위한 전용 마이크로도 쓰였던넘이다. 크리스탈 마이크는 압전 ( Crystal) 효과를 이용해 쉽게 큰 출력을 얻을수 있는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넘 음질이 무전기 수준이라 음질로 쇼부보는 분야에서의 수음으로는 부적합 하고, 통신용 등에나 쓰인다

 

마그네틱 마이크 (Electro Magnetic Microphone)

곰인형 배때기를 꾸욱 누르고 '자기야 사랑해~' 녹음하는 낯간지런 인형들을 구경한적 있을터인데, 거기에 쓰이는 마이크가 반도체 마이크라고도 불릐는 마그네틱 마이크다. 말그대로 자기 저항의 변화를 이용하여 반도체를 사용하는 구조인데, 개발여하에 따라 앞으로 발전 가능성은 있겠지만 현재까지는 최선의 음질을 요하는 분야에서 적합할 만큼 좋은 음질의 수음이 가능한 마그네틱 마이크는 본적이 없다. 현재는 앞서말한 곰인형이나 음악카드같이 주로 완구류 등에서 볼수 있었는데, 구조상 소형화가 가능한데다 기술발전에 따라 성능도 얼마든지 개선될수 있고, 비슷한 장점에 성능면에서도 월등한 콘덴서 마이크로 대체되는 분위기라 해도 마그네틱 마이크가 콘덴서 마이크 보다 가격면에서 유리하다는 이점이 있기에 앞으로도 여러분야에서 충분히 활용될 가능성은 남아있는 넘이라 할수 있겠다


다이나믹 마이크 (Dynamic Microphone)

평균자계(자석)와 움직이는(다이나믹) 도체 사이에서 발생되는 기전력을 이용한 마이크를 다이나믹 마이크라고 하는데, 위의 그림은 다이나믹 마이크 중에서도 현재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무빙코일 다이나믹 마이크의 내부 구조로다. 다이나믹 마이크 내에서도 종류에 따라 진동판과 도체의 구조가 조금씩 다르니, 어떤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함 알아보자.


리본형(Ribbon Type)

뮤직 비디오 속에서 폼잡으며 열창하는 척 하고 있는 가수들을 보고 있노라면, 그 앞에는 클래식한 분위기의 마이크가 놓여져 있는것을 자주 보았을 것이다. 늘상 보던 노래방 마이크와는 조금 다르게, 왠지 멋지게 생긴 그 마이크가 바로 섬세한 음질로 아직도 음악 녹음실에서 일부 사용되고 있는 리본형 마이크다. 1940~50년대,1960~70년대를 주름잡던 RCA사의 77DX, BK-5B 마이크 등은 마이크계의 클래식으로 기억되는 명품으로, 아직도 가끔 사용되기도 한다. 리본형은 평균자계(영구자석)속에 얇은 알미늄 리본을 도체로 사용하는 구조로, 알미늄 리본이란 도체가 길수록 전압이 커지므로 알미늄을 주름잡아 놓은 거다. 음질은 섬세하지만 리본이 큰 음량을 견디지 못해 쉽게 파손되고 충격에도 약해 다루기가 어렵고, 작게 만들기도 어렵기 때문에 요즘은 널리 사용되지는 않지만 섬세한 특유의 음질을 얻기위해, 혹은 폼잡으려는 목적으로 가끔 사용된다.


무빙코일형(Moving Coil Type)

노래방등에서 흔히보던 우리가 알고있는 그 마이크가 바로 무빙코일형 마이크다. 무빙코일형 마이크는 다이내믹 마이크의 일종이지만 워낙 널리 쓰이기 때문에 아예 다이나믹마이크의 대명사가 되어 그냥 다이나믹 마이크라고 부르기도 한다. 영구자석의 자계 내에서 진동판에 연결된 무빙코일의 움직임을 이용한 구조로, 음질도 좋은편이고, 다이나믹 레인지도 넓고, 무엇보다 큰 음압에도 잘 견디고 튼튼하여 다루기 쉽기때문에 현재 여러분야에서 가장 애용되고 있는 마이크다. 무빙코일 마이크 중에서 특히 유명한 것으로는 Shure사의 SM58 모델이 있고, 요즘 방송국의 경우에는 SENNHEISER사의 무선 마이크들을 많이 이용한다.

 

콘덴서 마이크 (Condenser Microphone)

우리가 주위에서 무빙코일형 다이나믹 마이크 못지않게 흔히 볼수 있었던 마이크가 바로 콘덴서 마이크 일꺼다. 마주보게 만든 얇은 두개의 판에 각각 +,- 의 극을 주어, +극판과 -극판 사이로 전류가 저장되게 만들어 놓고, 극판들중 하나는 고정시키고 하나는 진동판으로 만들고서 입력되는 소리로 진동판이 진동하면 저장된 전류의 전압이 변하는 원리로 만들어진 마이크가 콘덴서 마이크다. 콘덴서 마이크는 주파수 특성이 좋고 특히 감도가 높기 때문에 음질이 섬세하다. 게다가 얼마든지 작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여러방면에서 널리 애용되고 있다.

단점이라면 다이나믹 무빙코일 마이크에 비해 습기나 충격에 약하다는 것이고, 또 자체 전력이 미미하기 때문에 전력을 공급받을 전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전문용 고가의 콘덴서 마이크 부터 비교적 저렴한 일반용 콘덴서 마이크 까지 여러 종류가 사용되고 있는데, 캠코더나 워크맨등에 딸린 핀 마이크는 대표적인 콘덴서 마이크라 할수 있겠다.